KNU지역재생센터
비전
∙ 대학중심 지역재생센터를 구축·운영을 통한 지역연계 캠퍼스 특성화
∙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 지방 소도시 위기와 지역거점국립대학의 책무성 강조
∙ 대학-도시 협력플랫폼 활성화를 통한 상생협력 방안 도출
∙ 삼척·도계캠퍼스 중심 ‘KNU형 대학도시 특화모델’ 개발 통한 한국형 대학도시 구축 선도 역할
∙ 학령인구 위기 극복한 삼척·도계캠퍼스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
추진목표
가. KNU지역재생센터 및 대학중심 지역재생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 및 실천
∙ KNU 대학중심 지역재생활성화위원회 지속 운영
∙ 관학협력관실 등 대학-도시 협력플랫폼 구축 운영
∙ 지역재생 활성화를 위한 학술연구·교육·체험 활동 계획 등
나. 강원대학교와 지역사회의 상생발전을 위한 KNU형 대학도시 선도모델 개발
∙ 강원대학교 특화 대학도시 선도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마스터플랜 구상
(현장조사, 수요조사, 정책연구, 도시-건축 기초 연구 등)
∙ 삼척형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대학-도시 협업체계 구축 및 운영
∙ 도계형 대학도시화 사업(Univer-City KNU) 구체화
다. 대학과 지역 구성원 간 역량공유 및 참여 확대
∙ 도시·건축, 건설·환경, 에너지, ICT, 디자인, 레저·스포츠, 인문·사회과학,보건과학 등 대학의 지역재생 분야 교육·연구역량의 지역공유, 학생 참여 확대
∙ 지역문화, 향토사 등 지역학연구 성과의 대학공유
∙ 대학·지역 간 중장기발전계획 상호연계 실천방안 모색 및 민·관·학 협력사업
라. 재역재생 특화 교과-비교과 융합교육과정 개발
∙ 대학구성원(교직원, 학생) 참여 확대 통한 대학-도시 소속감 및 애향심 고취
마. 합리적·구체적 운영체계 구축을 통한 행·재정적 자생력의 조기 확보
∙ 2단계 국립대학 육성사업 참여를 통한 인큐베이팅 기반 확보 (2022년까지)
∙ 캠퍼스 내 지역협력·지역재생 관련 연구소·센터 융합 운영을 통한 사업범위 확장 및 실천역량 강화, 대학과 도시 간 상생협력플랫폼 활성화를 통한 행·재정적 자립화 도모 (2022년 이후)
바. 학령인구 위기 극복한 삼척·도계캠퍼스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